[둥싱(중국 산둥성)=뉴스핌] 최헌규 중국전문기자= 누런 황하와 청록색 푸른 바다가 만나는 곳, 중국 산둥성 둥잉(东营)시는 빼어난 황하 풍경구이자 상호 교류 겸 문화 융합의 고장이다.

중국 서쪽 먼 발원지로 부터 5400여킬로미터를 흘러내려온 황하는 현재 중국의 동쪽 산둥성 둥잉시에서 바다(발해만)와 조우한다.

황하는 동잉시에서 바다로 유입되면서 아득히 수평선을 펼치며 하구에 황하삼각주를 이룬다. 둥잉은 황하유입구, 황하구(黃河口)의 도시다.

[서울=뉴스핌] 최헌규 중국전문기자= 중국 산둥성 둥잉시 황하구 풍경구. 사진=뉴스핌 촬영.   2024.06.01 chk@newspim.com


2024년 5월 30일 중국 CCTV 국제 온라인 산둥채널의 안내로 찾은 둥잉시 황하 유입구 일대는 독특한 습지와 함께 1500여 평방킬로미터의 넓은 황하 하구 생태 환경을 연출하고 있었다.

둥잉시의 황하 하구 삼각주 일대는 그 자체가 바다 처럼 망망한 모습을 하고 있다. 황하구 선착장에서 쾌속 유람선을 타고 먼바다 바다를 향해 40분을 나가도록 계속 누런 황하 강물이다.

한시간 가까이 숨차게 달린 유람선이 속도를 줄이는가 싶더니 바로 코앞에 강이 바다와 만나 빚어내는 아름답고 장엄한 자연 광경이 펼쳐진다.

중국인들이 모친하(母親河, 어머니의 강)라고 부르는 누런 황하가 짙은 청록색의 바다와 만나는 곳, 바로 이곳이 산둥성 둥잉시 황하유입구의 최대 절경 '황란(黃藍) 교접 풍경구'다.

 

[서울=뉴스핌] 최헌규 중국전문기자= 5400여킬로미터를 흘러온 황하가 산둥성 둥잉시 발해만에서 바다와 만나고 있다. 이 지점은 황하 하구 황란 교접 풍경구(황색 황하와 푸른 바다가 만나는 풍경구)로 배로 40분 정도 거리에 있다.  사진=뉴스핌 통신사 촬영.   2024.06.01 chk@newspim.com

 

황하의 큰 바다 유입에 대해 옛 시인들도 많은 시문을 남겼다. 당나라 시인 왕지환은 '등관작루(관작루에 올라)' 라는 시에서 '해는 서산에 지고, 황하는 바다로 흘러든다'고 노래했다. 이백은 인생과 결부시켜 '황하가 하늘에서 내려와 바다로 흘러들면 다시 돌아오지 못하네'라고 읊었다.

누런 황하의 물이 청록색 바다와 묘한 조화를 이루고 구름 낀 파란 하늘과 함께 어우러져 신비스러움을 더한다.

둥잉시의 황하 교접 풍경구는 대자연의 신비를 발산하고 문화 교류와 상호 융합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CCTV 국제온라인 산둥채널 취재 프로그램에 참가한 국내외 매체 기자들은 황하의 끝에 서서 천년의 황하가 바다로 흘러드는 광경을 경외심 가득한 눈으로 지켜보았다.

황하는 중국의 젖줄로서 반만년의 유구한 중국 문명을 잉태했다. 5400여 킬로미터의 유장한 황하는 구불 구불 쉬지않고 흘러와 둥잉시 발해만 지점에서 걸음을 늦추면서 바다와 하나가 된다.

 

[서울=뉴스핌] 최헌규 중국전문기자= 산둥성 둥잉시 황하구 유람선이 망망하게 펼쳐진 황하 하구 삼각주의 누런 강물 위를 달려 황하와 우리의 서해 발해만 바다가 만나는 황란(黃藍) 교접점 풍경구로 향하고 있다.   2024.06.01 chk@newspim.com

황하가 바다와 만나는 '황란 교접 풍경구'에 서면 대자연의 장엄한 경치에 절로 감탄사가 터져나온다.

강물과 파도는 대자연의 신묘한 매력을 발산하며 마치 흥겨운 춤을 추듯 출렁거린다. 이런게 인간과 자연의 교감일까. 누런 색깔의 강물과 진 청록색의 바다와 파란 하늘, 새하얀 구름이 펼쳐내는 대향연 앞에 자연의 일부인 사람도 어느새 하나가 된다.

한중신문기자협회 회장 겸 한국신화신문사 사장인 조명권 박사는 "둥잉시 황하 하구 취재는 잊을 수 없는 경험"이라며 "대자연의 장엄함과 신비로움, 생명의 강인함과 위대함을 함께 느낄 수 있었다"고 소감을 밝혔다.

이무아(李茂娥) 세계교포신문 편집장은 "둥잉시 황하구(黃河口) 취재를 통해 황하 하구 지역의 생태환경과 생물 다양성을 알게 됐다"며 "인간과 자연의 교감과 조화로운 공생의 중요성을 절감했다"고 말했다.

서울= 최헌규 중국전문기자 chk@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