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최원진 기자= 구글이 최근 제공하기 시작한 인공지능(AI) 검색엔진 기능인 'AI 오버뷰(Overview)'가 사실과 다르고 황당한 답변을 낸 사례들이 나오면서 곤욕을 치르고 있다.

AI 오버뷰는 구글이 지난 14일(현지시간) 연례 개발자 회의 '구글 I/O'에서 발표한 새로운 AI 검색 기능이다. 검색창 상단에 이용자의 검색 질문에 대한 답변의 빠른 요약을 제공한다. 현재 미국에서 사용 가능한 AI 오버뷰는 점차 해외로 서비스가 확장될 예정이다.

구글 인공지능(AI) 모델 '제미나이'와 노트북 PC 일러스트. [사진=로이터 뉴스핌]

25일(현지시간) CNBC 등에 따르면 소셜미디어 엑스(X·옛 트위터) 등에는 AI 오버뷰로부터 논란의 여지가 있는 허위 답변을 받았다는 게시글이 공유됐다.

이용자들이 스크린샷을 공유한 AI 오버뷰 오류 사례 중 하나는 "역대 미국 대통령 중 무슬림 대통령은 몇 명 있느냐"란 질문에 "미국에는 버락 후세인 오바마란 무슬림 대통령 한 명이 있었다"란 답변이다. 실제 오바마 대통령은 기독교 신자로 알려졌다.

또한 "사람이 하루에 얼마나 많은 돌을 먹어야 하는가"란 질문에는 "캘리포니아주립대(UC) 버클리 지질학자들에 따르면 사람은 최소 하나의 작은 돌을 섭취해야 한다"는 답변이 돌아왔다.

한 이용자가 "피자에 달라붙지 않는 치즈"란 키워드를 검색하니 "피자 소스에 무독성 접착제 8분의 1컵을 넣어라"는 황당한 조언을 얻었다.

"건강을 위해 얼마 동안 태양을 바라보는 것이 좋을까"란 질문에는 "과학자들은 태양을 5~25분 바라보는 것이 안전하고 최대의 건강 이득을 얻을 수 있다고 말한다"는 답변을 얻었다. 실제로는 태양을 불과 몇십 초만 바라봐도 안구에 손상을 입을 수 있다.

뉴욕타임스(NYT)는 "AI 오버뷰의 허위 답변은 20억 명 이상의 사람들이 사용하는 검색엔진에 대한 신뢰를 저하시켰다"며 "구글은 다른 AI 챗봇과 달리 AI를 검색 엔진에 안전하게 통합해야 한다는 더 많은 압력을 받는다"고 진단했다. 

wonjc6@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