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주요 시중은행들이 홍콩H지수(항셍중국기업지수) 주가연계증권(ELS) 손실 배상 협의를 본격적으로 시작한다. 특히 최근 반등한 H지수의 향후 움직임이 손실 및 배상 규모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26일 금융권에 따르면, H지수 ELS 최다 판매사인 KB국민은행은 27일부터 올해 1월 만기 도래한 6300여 건의 ELS 손실 확정 계좌(중도해지 포함)에 대해 자율배상 협의를 시작하기로 했다.

KB국민은행은 관련 위원회를 통해 계좌별 배상 비율을 확정한 뒤 고객에게 자율배상 조정 절차와 방법을 안내하는 문자를 발송하고, 영업점 직원들이 유선 안내를 병행할 계획이다.

신한은행은 배상 협의 속도가 가장 빠르다. 신한은행은 지난 23일까지 820건의 배상 협의를 마쳤다. 이번 주에는 합의 사례가 1000건을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하나은행 역시 지난 주말 배상위원회를 열고 이번 주부터 다수 고객과 협의 및 조정에 들어간다.

NH농협은행은 이번 주 수백 건의 자율배상 성사를 앞두고 있다. 지난 21일 자율배상 조정 신청을 받기 시작한 뒤 모두 667건이 접수됐다. 다만 아직까지 첫 배상금 지급 사례는 나오지 않았다.

그러나 모든 투자자와의 합의가 순조롭게 이루어질지는 미지수다. 보상 비율이 낮은 고객들 중에서는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최근 6600대로 반등한 H지수가 ELS 손실 및 배상 규모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손실률은 만기 시점 지수가 높을수록 줄어들기 때문이다. 한 은행에서는 올해 2월 53.89%에 달했던 손실률이 5월에는 37.12%로 감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