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조민교 기자 = 한국 정부의 일제 강제징용 피해자 배상 해법 발표 후 설립된 재단법인 '한일·일한 미래 파트너십 기금(이하 기금)'에 일본 기업이 2억엔(약 약 17억4000만원) 이상을 기부했다고 요미우리신문이 25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일본의 게이단렌(経団連·일본경제단체연합회)은 전날 기금에 근거한 협력 사업을 확충한다고 발표했다.

기부 목표액이 1억엔을 웃도는 2억엔이 모이면서 한일 양국 간 인적 교류, 산업 협력을 한층 강화할 방침을 내세운 것으로 전해졌다.

[서울=뉴스핌] 황준선 기자 = 도쿠라 마사카즈 게이단렌 회장이 4일 오전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열린 제29회 한일재계회의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2022.07.04 hwang@newspim.com

다만 징용 기업은 이에 참가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신문은 "게이단렌은 기부금을 출연한 회원기업 내역을 밝히지 않고 있으나, 일련의 (강제징용) 소송으로 전 징용공(강제징용 피해자)에 대한 배상 의무가 확정된 일본 피고 기업은 현 시점에서 참여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며 "한국 정부계 재단이 배상금 상당액을 원고에게 지급하려는 해결책이 진행 중이며 배상 문제가 최종 결착되지 않았기 때문이다"고 설명했다.

일제강점기 징용 피해자 소송에서 배상 책임이 인정된 일본 기업으로는 미쓰비시중공업, 일본제철, 히타치조선 등이 있다.

요미우리는 게이단렌이 목표치보다 많은 미래기금 기부금 확보와 사업 확대 계획을 밝힌 것과 관련해 "한국에서는 네이버가 대주주인 라인야후에 총무성이 행정지도를 하면서 파문이 확산하고 있다"며 "(일본) 경제계가 (한일) 관계 개선 방침에 변함이 없다는 점을 드러내려는 의도도 있는 듯하다"고 짚었다.

mkyo@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