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최근 불거진 공매도 재개 관련 논란에 대해 입장을 밝혔다.

이복현 원장은 지난 23일 KBS2 경제콘서트에 출연해 공매도 재개와 관련 기존 입장을 다시 한번 강조했다.

이 원장은 앞서 뉴욕 출장 도중 일부 공매도 재개를 시사한 그의 발언으로 혼란이 발생하자 수습에 나선 것이다.

이 원장은 “정부의 일관된 입장은 불법 공매도 방지 전산시스템 마련 이후 의사결정을 하겠다는 것이다”며 ”다양한 옵션을 검토 중이고 6월 중 공매도 재개 여부나 시점, 어떤 기준으로 재개할 수 있을지 설명 드릴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개인적인 욕심으로 일부 공매도를 재개했으면 좋겠다고 말한 것은 맞지만, 일부 공매도 재개를 못하게 되더라도 어떤 방식으로 재개할 수 있을지 시장에서 어떻게 예측할수 있는지에 대해 투명하게 알릴 필요가 있다고 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많은 외국인 투자자들도 국내 공매도 관련 사정을 이해하지만 최소한 어느정도 기간에 뭐가 준비되면 공매도가 재개될 수 있는지 스케줄을 알려달라는 요청이 있다”고 언급했다.

이 원장은 “전산시스템 구축에는 두 단계가 있다. 1단계는 빠르게 진행될 수 있지만 2단계는 법 개정이나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고 설명했다.

이 원장은 투자자들에게 1단계 시스템에 대한 의견을 묻는 것도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 원장은 일부 공매도 재개가 대형주 중심의 공매도 재개를 뜻하는 것인지를 확인하는 질문에는 오해를 불러일으킬수 있는 언급을 자제하며 다각적인 검토를 진행중이라고 해명했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이 금융권 전반의 위기로 전이될 가능성에 대해 이 원장은 “금융사로서의 쏠림이나 부실, 리스크 초래 가능성은 없다”고 자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