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알파경제가 생성형 AI(인공지능)를 이용해 제작한 콘텐츠다. 기사 정확도와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교차 데스킹(Desking) 시스템을 구축해 양질의 기사를 제공한다.

사진=네이버,카카오,토스

 

네이버, 카카오, 토스 등 국내 주요 기술 대기업들이 보험 분야에서 저마다의 경로를 모색하고 있다. 

 

이들 기업은 강력한 월간 활성 사용자 수(MAU)를 바탕으로 한 플랫폼 경쟁력을 무기로, 보험 시장에 다양한 접근법을 취하고 있다.

 

23일 보험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카카오페이손해보험은 최근 0~5세 아동을 대상으로 한 영유아보험 상품을 출시하며 보험 상품 개발 및 판매 영역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구축하고 있다. 

 

이는 카카오가 국내 빅테크 3사 중 유일하게 자체 보험사를 운영함으로써 가능한 전략이다.

 

2022년 디지털 보험사로 출범한 카카오페이손보는 해외여행보험과 운전자보험이라는 대표 상품을 앞세워 시장에서 호응을 얻고 있다. 

 

특별한 할인 조건 등으로 소비자의 관심을 끌며, 단기간 내 큰 성장을 이루었다. 

 

게다가 '카카오톡 공유하기' 기능을 통해 가입자 수를 증가 시켰다는 점은 플랫폼의 강력한 홍보 능력을 증명한다.

 

뿐만 아니라 카카오페이는 법인보험대리점(GA) KP보험서비스도 운영 중이며, 이를 통해 보다 다양한 보험 상품 판매에 나서고 있다. 

 

반면 토스는 GA인 토스인슈어런스를 통해 주요 판매 채널로서 자리매김하며 보수적인 성과를 거두고 있다.

 

그러나 네이버는 직접적인 보험 사업 참여 대신 자사 플랫폼에서 제공되는 보험상품 비교 및 추천 서비스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실제로 네이버파이낸셜은 올해 초 약 15만 건에 달하는 자동차보험 비교 조회수를 기록하며 금융소비자들에게 실질적 혜약을 제공하는데 주력하고 있음을 밝혔다.

 

네이버 파이낸셜 관계자는 “당초 보험상품 중개를 위해 NF보험서비스를 설립했으나 혁신금융서비스를 통해 플랫폼서 보험비교가 가능해지면서 정리한 상태”라며 “현재는 금융소비자들이 효용을 체감할 수 있도록 보험·비교 추천 개선을 거듭하고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