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대한항공)

 

대한항공이 대한민국 공군의 KC-330 '시그너스' 다목적공중급유수송기에 대한 첫 창정비를 성공적으로 완료하고 출고했다.

22일 대한항공 항공우주사업본부는 오전 부산 강서구에 위치한 대한항공 테크센터에서 KC-330 창정비 초도기 출고식을 개최했다.

이 행사에는 박정우 대한항공 항공우주사업본부장과 유재문 대한민국 공군 군수사령관 등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했으며, 대한항공은 오는 23일 해당 기체를 우리나라 공군에 인계할 예정이다.

이번 창정비를 수행한 KC-330은 민간 항공기 에어버스 A330-200을 기반으로 개조된 다목적공중급유수송기로, 별자리 중 백조자리를 뜻하는 ‘시그너스’로 불린다.

우리 공군은 2018년 첫 도입후 현재까지 총 4대를 운용하고 있다.

KC-330은 공중에서 전투기에 연료를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통해 장거리 작전 수행 능력을 크게 향상시킨다.

또한 주요 군사 임무에서 사람과 물자를 수송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앞서 내전 중인 수단에서 교민 28명을 구출했던 '프라미스 작전'과 홍범도 장군 유해 봉환 임무에도 투입된 바 있다.

대한항공은 지난해 12월 우리나라 공군으로부터 KC-330의 창정비 사업을 수주했다.

창정비란 항공기의 기체 구조물 및 부품에 대한 철저한 점검과 수리를 의미하며, 이는 초기 출고 당시와 같은 성능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고난도의 정비작업이다.

군용기는 600여 가지 이상의 점검 항목이 추가되어 더욱 세심한 관리가 요구된다.

1978년 미군 전투기 창정비 사업을 시작으로 대한항공은 한·미 군사 당국의 다양한 군용기 정비 사업을 진행해왔다.

F-4, F-15, F-16, C-130 등 전투기 및 수송기를 포함하여 RC-12 정찰기와 UH-60 헬기 등 다양한 기종의 창정비와 개조 사업에서도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알파경제의 취재에 따르면 KC-330 공중급유기는 현재 군에서 4~5대 정도 도입된 상태로 알려져 있다. 이 중 대한항공이 첫 정비를 실시했다는 사실은 주목할 만하다.

 

군정비는 단순한 유지보수가 아닌 방위사업의 일환으로 국가의 허가와 면허가 반드시 필요하다. 따라서 모든 항공사가 이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대한항공은 국내에서 유일하게 군정비를 수행할 수 있는 자격을 갖추고 있다.

 

대한항공은 일반 여객기뿐만 아니라 군용기도 정비하고 있으며, 이는 국내에서는 유일무이한 사례이다. 다른 국내 항공사들은 외국 외주 정비업체에 정비를 맡기고 있다. 

 

정비 작업은 단순한 유지보수를 넘어 비행기를 완전히 분해하고 다시 조립하는 고도의 기술력을 요구한다. 이러한 우수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대한항공은 이제 방위산업 분야로도 첫 걸음을 뗀것에 의미가있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에어버스 A330 여객기의 정비 기술력과 군용기 창정비 경험을 바탕으로 이번 KC-330 초도 출고를 성공적으로 마쳤다”며 “앞으로도 종합적인 창정비 능력과 전문화된 군수 지원 역량을 활용해 군용기 유지·보수·운영(MRO) 사업과 성능 개량 사업을 지속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