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SK그룹은 작년 경영활동을 통해 약 16조8000억원의 사회적 가치를 창출했다고 22일 발표했다.


이는 회사가 ▲지불한 임금 ▲법인세 ▲배당금 및 사회사업 비용에서 환경오염 비용을 차감한 결과다.

반도체 등 주력 사업의 업황 악화로 배당과 납세액이 줄어 들면서 총액은 전년 대비 15% 감소했다.

SK그룹은 지난해 ▲경제 간접 기여 성과 16조6000억원 ▲환경 성과 2조7000억원 ▲사회 성과 2조9000억원 등 총 16조8000억원의 사회적 가치를 창출했다고 설명했다.

이는 첫 측정을 시작한 지난 2018년 이후 누적액이 93조원에 이른다.

임금과 배당, 법인세 등을 합한 경제 간접 기여 성과는 전년 대비 약 17% 하락했다.

글로벌 경기 침체로 인해 주요 사업의 업황이 악화되면서 관계사들의 배당과 법인세가 줄어든 결과다.

특히 반도체와 석유 업황 악화로 SK하이닉스와 SK이노베이션의 영업이익이 감소하면서 그룹 전체 경제 간접 기여 성과에 영향을 미쳤다.

구체적으로 보면, SK하이닉스는 2022년에 약 1조7611억 원의 법인세를 납부했으나, 지난해 약 7조7000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하며 법인세를 내지 않았다.

같은 기간 SK이노베이션의 영업이익은 3조9173억원에서 1조9039억원으로 절반 이상 줄었고, 법인세도 2022년 약 9650억원에서 작년에는 약 3772억원으로 크게 감소했다.

이에 대해 SK는 "경제 간접 기여 성과는 외부 환경 변수에 따라 변동성이 크지만, 사업 본연의 성과 강화를 통해 개선할 것"이라고 말했다.

환경 성과 분야는 전년도와 비슷한 수준(-2.8조원)을 유지했다.

SK는 공장 증설에도 불구하고 탄소 감축 방안을 지속적으로 모색하며 전기차용 배터리 등 제품·서비스를 통한 긍정적인 성과를 이어나갈 계획이다.

사회 성과 분야에서는 '사회 관련 제품 및 서비스' 영역에서 큰 발전을 이루었다.

이 분야에서만 약 1조5000억원의 사회적 가치를 달성했으며 이는 첫 측정 연도인 2018년에 비해 약 9배 증가한 수치이다.

SK그룹은 “향후에도 지속 가능한 경영 활동을 통해 더 많은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노력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자료제공=SK그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