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조승진 기자 =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21일 오후 출입기자단과 만남에서 의대생과 언제든 소통할 뜻이 있다고 밝혔다. 정부의 의대 증원 정책에 반대하는 의대생들의 수업 거부가 지속됨에 따라 유급 가능성이 높아지자 대화를 통해 설득에 나서겠다는 것이다.

이 부총리는 이날 "가장 우려되는 부분이자 최악의 경우는 1학년 의대생들이 두 배가 되는 것"이라며 "1학년 학생들의 피해가 상당히 우려된다"고 말했다.

[서울=뉴스핌] 김학선 기자 =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21일 정부서울청사 별관에서 열린 출입기자 간담회에서 현안질의에 답하고 있다. 2024.05.21 yooksa@newspim.com

이어 "학생들에게 어떤 피해가 가는지 정확하게 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라며 "1학년 학생과 (의사 국가고시를 앞둔) 본과 4학년 학생의 경우 어떤 피해가 가는지 (대학에서) 일대일 면담을 통해 알려주고 피해를 보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짚었다.

또 "오늘 공개 메시지를 통해 의대생들에게 만남을 제안했다"며 "교육부에서 직접 의대생을 만나 정부 정책을 소상히 얘기하면 많은 오해가 풀릴 수 있다고 생각한다. 기회를 준다면 언제든 소통한다는 게 교육부 입장"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의사 국시 연기와 관련해서는 복지부와 협의가 더 필요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 부총리는 "의사 국시를 앞둔 학생 한 명의 피해도 없도록 하는 게 교육부 방침이자 목표"라며 "복지부와 협의하는 중으로 (진행 상황에 대해) 말할 단계는 아니다"라고 했다.

아울러 의대 증원과 관련한 각 대학의 학칙 개정과 관련해서는 법령에 따라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 부총리는 "(대학별) 학칙은 반드시 대교협에서 공포하는 숫자만큼 개정돼야 한다"며 "법으로 정해진 사항"이라고 했다.

앞서 같은 날 오전 이 부총리는 보도자료를 통해 40개 의대 학생단체인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에 공개 대화를 제안했다.

이 부총리의 이번 제안은 지난 3월 11일 이후 약 2개월 만이다. 당시 대화는 의대협으로부터 답변을 받지 못하며 이뤄지지 않았다.

교육부는 의대협 측이 공식 연락처를 제공하지 않아 불가피하게 언론을 통해 대화를 제안한다며 교육부에 답신 해줄 것을 요청했다.

대화 시기, 주제, 공개 여부, 참여 규모 등은 학생들과 의사를 조율해 정하겠다고도 했다.

이 부총리는 "정부는 주제, 방식 등을 한정하지 않고 열린 마음으로 학생들의 의견을 듣겠다"라고 밝혔다. 

chogiza@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