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노연경 기자 = 내년도 의과대학 정원 증원분이 이번 주 확정되지만, 의대 교수들은 이와 별개로 과학적인 의사 수 추계를 위한 연구 논문 공모 작업을 이어간다.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서울대병원 비상대책위원회(서울대의대·서울대병원 비대위)는 21일 서울대의대 융합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에 의사 수 추계를 위한 자료를 요청했다.

강희경 서울대의대·서울대병원 비대위 3기 비상대책위원장(비대위원장)은 "요청하는 자료는 대부분 기존 연구에서 활용하였던 자료들이므로 정부에서 충분히 이른 시간 안에 제공해 주실 수 있을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지금까지는 연구자마다 자료에 대한 접근성이 다르고 최신의 자료를 구할 수 없는 한계가 있어 만족할 만한 연구를 할 수 없었으나, 이번 연구에서는 최신 자료를 오픈 데이터 형태로 모든 연구자에게 공개하겠다"며 "역량 있는 연구자 누구나 이 자료를 이용하실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서울대병원 비상대책위원회가 21일 서울대의대 융합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질의응답에 답하고 있다.[사진=노연경 기자]

이는 비대위 내부에서도 과학적 근거를 통해 의료개혁 방향을 제시해야 한다는 의견이 모였기 때문이다. 서울대의대·서울대병원 비대위가 진행한 설문조사에서 555명의 교수 중 절반(48.4%)가량이 비대위 활동 방향에 대해 '과학적인 근거 연구를 통해 의료 개혁의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돼야 한다고 답했다.

이에 비대위는 의료개혁 테스크포스(TF)를 꾸리고 과학적인 의사 수를 추계에 직접 나섰다. 지난 14일까지 시민 공청회를 통해 국민과 환자들이 원하는 의료서비스에 대한 공모를 받았다.

다음 달까지 정부로부터 연구에 필요한 데이터 등을 제공받고, 이를 다음 달 말 모든 연구자가 접근할 수 있도록 오픈데이터화할 계획이다. 이후 내년 1월 31일까지 연구 논문 공모를 받은 뒤 2월 6일 공개 토론회를 연다. 

강희경 비대위원장은 "이미 복수의 연구자가 참여 의사를 밝혔다"라며 참여 의사를 밝힌 연구자 중엔 정부가 2000명 증원의 근거로 삼은 연구보고서를 작성한 연구자도 포함돼 있다고 밝혔다.

이어 이미 내년도 의대 정원 증원이 확정된 상황에 의사 수 추계에 나선 이유에 대해선 "지금 이런 연구를 안 하면 내년에 재논의할 때 의료계가 낼 수 있는 방안이 없다"라며 "숫자에 대한 (의료계) 의견을 내기 위해서 지금 하려는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가 병원을 이탈한 지 석 달이 지난 전공의들에 대해 처벌을 진행하겠다고 밝힌 것과 관련해서는 "모든 의료계의 목소리는 제발 멈춰달라는 것"이라며 "그 얘기 계속하고 있고 그 외 더 할 수 있는 게 무엇일까 싶다. 아이디어를 알려주면 뭐든 하겠다"고 답했다.

또 대통령 직속으로 꾸린 의료개혁특별위원회에 참여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선 "정부와 의료계 사이에 불신의 벽이 높다"며 "각 협의체에서 의사들이 참여해 목소리를 냈음에도 현장의 생각이 다수결에 묻혔다"고 선을 그었다. 

yknoh@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