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홍석희 기자 = 제22대 국회 전반기 국회의장 선거에서 우원식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추미애 당선인을 꺾으며 이재명 대표의 리더십이 다소 타격을 입었다. 현역 의원들에겐 '명심'이 제한적이란 것을 확인한 이 대표가 오히려 연임 결심을 굳힐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지난 16일 치러진 국회의장 경선은 제22대 국회에서 민주당 계파 구도를 처음으로 엿볼 수 있는 자리였다. 원내대표 선거는 '찐명' 박찬대 원내대표의 단독 출마로 싱겁게 마무리됐다.

[서울=뉴스핌] 이형석 기자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우원식 국회의장 후보가 16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만나 공개발언을 마치고 이동하고 있다. 2024.05.16 leehs@newspim.com

'친명 횡재 비명 횡사' 꼬리표가 붙은 당내 공천과 총선 압승을 통해 친명 인사들이 국회에 대거 입성했다. 반면 친문을 비롯한 비명 그룹은 급격히 위축됐다. 민주당의 본류인 86세대 운동권도 고전을 면치 못했다.

그렇기 때문에 추 당선인에 대한 당내 비토가 강했음에도 '명심(이재명 대표의 의중)'에 따라 추 당선인이 국회의장 후보로 선출될 것이란 예측이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뚜껑을 열어보니 명심은 예상보다 제한적이었다. 재선 이상 당선인들은 이 대표의 '거친 교통정리'에 강하게 반발했다.

이 대표가 제22대 국회 개원 이전부터 리더십에 상처를 입은 가운데 이 대표 연임 여부에 시선이 쏠린다. 이 대표는 지난 16일 국회의장 경선 직후 "임기가 아직 네 달 가까이 남았기 때문에 깊이 생각할 단계는 아니"라며 즉답을 피했다.

'우원식 이변'으로 리더십에 다소 흠집이 났으나 연임론에 영향을 줄 정도는 아니라는 것이 중론이다. 오히려 당원들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져 연임 결심을 더욱 굳힐 것이란 예측도 나온다.

한 다선 당선인은 기자와의 통화에서 "이 대표와 측근들은 무엇도 국회의원 손에 맡겨선 안 되겠단 생각을 할 것"이라며 "그립을 더욱 강화시킬 것이며 연임에 대한 생각도 더욱 강해졌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미 이 대표의 측근들은 연임을 기정사실화 하고 있다. 마땅한 대안이 없는 상황에서 누가 대표를 맡아도 책임은 이 대표가 뒤집어쓸 수밖에 없다는 인식이다.

당초 연임을 꺼리던 이 대표도 현재는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고민하는 것으로 관측된다. 특히 추 당선인의 탈락으로 성난 당원들의 연임 요구를 외면하기 어렵다는 예측이다.

이 대표와 가까운 한 당선인은 "이미 이 대표 본인 뜻대로 정치 행보를 결정할 수순을 넘어섰다"며 "이 대표는 생각 이상으로 당원 의견을 중요하게 고려한다. 당원 뜻에 따라 연임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hong90@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