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주현 금융위원장이 5일 오전 서울 중구 IBK기업은행 본사에서 열린 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금융당국이 우수한 기술력을 보유한 초기 벤처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15조 4천억원 규모의 정책금융을 공급하겠다고 밝혔다.

금융위원회는 16일 김주현 금융위원장 주재로 ‘벤처기업 현장 간담회’를 열고 국내 벤처투자 성장을 유도하기 위한 과제를 발표했다.

먼저 금융위는 벤처기업 창업 초기 단계부터 자금 확보에 어려움이 없도록 올해 중 산업은행·기업은행·신용보증기금을 통해 벤처 시장에 지난해(약 11조 8000억원) 대비 약 30% 증액한 15조 4000억원을 공급하기로 했다.

동시에 지난 3월 출범한 ‘IBK 벤처투자’를 통해 향후 3년간 5000억원 이상 펀드를 조성·투자하는 등 창업 초기기업 육성 노력을 강화한다.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국내는 어느 정도 성과가 입증된 후기 기업에 대한 투자 비중(작년 기준 47.3%)이 높아 초기 기업에 대한 사각지대 보완이 중요하다”며 “벤처지원 규모를 확대하고 초기 기업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금융위원회는 세컨더리펀드(기존 모험자본 펀드 회수를 지원) 및 인수·합병(M&A) 등 중간 회수 시장 활성화도 추진한다.

금융위는 기업공개(IPO) 중심 회수시장 개선을 위해 산은·기은 세컨더리 펀드(1조 2000억 원 규모)가 조성돼 올해 5월부터 본격적인 투자 집행에 나서고 있다.

벤처펀드 구주 매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현재 샌드박스로 지정해 운영 중인 비상장주식거래 플랫폼 제도화 방안도 연내 발표할 예정이다.

또 상대적으로 투자유치 기회가 적은 지방소재 벤처기업도 지원하기 위해 벤처기업 육성 플랫폼을 부산과 광주에 연내 추가로 개소할 계획이다.

해외투자유치를 통해 사업확장을 위한 대규모 자금을 조달하거나 해외시장으로 진출하려는 벤처기업을 위해 정책금융기관이 해외네트워크를 통한 지원도 늘린다.

정책금융기관 해외 거점을 통한 현지 네트워크 구축과 컨설팅 지원 등 다양한 비금융지원도 지속 강화할 방침이다.

김 위원장은 “온전한 벤처생태계 구축을 위해 금융위 정책금융뿐만 아니라 범부처 차원 촘촘한 지원체계 구축이 중요하다”며 “중소기업벤처부를 비롯한 관계부처와 협업을 통해 실질적인 지원방안을 지속해서 모색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