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김정태 건설부동산 전문기자= 4월 서울 아파트 매매와 전세 가격의 상승세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16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4월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주택(아파트·연립·단독주택) 가격은 3월에 비해 0.07%포인트(p) 축소된 -0.05%를 기록했다. 이는 6개월 연속 하락세이나 하락폭은 점차 축소되는 양상이다.

[자료제공=한국부동산원]


주택유형별로 살펴보면 아파트(-0.18%→-0.08%)는 0.10%p 축소됐으며 연립주택(-0.07%→-0.08%)는 0.01%p 하락폭이 확대됐다. 반면 단독주택(0.07%→0.08%)은 상승세로 돌아섰다.

지역별(주택종합 매매가격지수)로는 서울(0.00%→0.09%)이 비교적 큰폭의 상승세를 보였다. 경기(-0.19%→-0.07%)와 인천(-0.06%→-0.05%) 집값은 하락폭이 각각 0.12%p, 0.01%p 축소됐지만 다섯 달 연속 하락세가 이어졌다.

한국부동산원은 "서울 주요지역 및 선호단지 중심으로 간헐적 상승거래가 발생하고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A 노선 일부구간의 개통 등 교통 호재에 힘입어 수도권 일부 지역의 상승으로 전국이 지난 3월에 비해 하락폭이 축소됐다"고 설명했다.

전국 주택 전셋값은 지난 3월 전월비 0.02%p 상승한 0.07%를 기록했다. 

유형별로는 아파트(0.09%→0.12%)가 0.03%p올랐지만 연립주택(-0.05%→-0.06%)은 0.01%p 확대됐으며 단독주택(-0.00%→0.00%)은 보합세로 전환됐다. 

전세시장은 지역별로 수도권의 상승폭이 확대되고 있으며 지방도 소폭 하락세가 축소되는 흐름을 보였다.

수도권은 3월 0.19%에서 0.21% 상승폭이 0.03%p 확대됐으며 지방(-0.08%→-0.06%)은 하락폭이 축소 됐다.

전국 주택 월세가격은 0.08%로 전월대비 0.01%p 상승폭이 축소됐다. 

주택유형별로는 아파트(0.12%→0.11%)와 연립주택(0.06%→0.05%)이 각각 전월대비 0.01%p 상승폭이 축소됐으며 단독주택(0.02%→0.03%)는 지난달보다 상승폭이 소폭 확대됐다.

한편 국토연구원이 발표한 '4월 부동산시장 심리조사'에 따르면 전국이 100.5로 전월보다 0.3p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수도권은 105.0으로 전월비 1.4p 상승한 반면 비수도권은 95.6으로 전월비 0.9p 하락했다.

dbman7@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