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뉴스핌] 이경태 기자 = 우리나라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인공지능(AI)·사물인터넷(IoT)·빅데이터 분석 도입 분야에서 1위를 차지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OECD가 14일(현지 시각) 발간한 '디지털경제전망보고서(OECD Digital Economy Outlook, DEO) 2024 1권'에서 국내 기업의 디지털 신기술 도입률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고 16일 밝혔다.

OECD 디지털 기술 도입률 중 우리나라 순위 [자료=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4.05.16 biggerthanseoul@newspim.com

인공지능·메타버스 등 디지털 분야의 경제와 기술 현황과 전망을 다루는 이번 보고서에 따르면, OECD 회원국 내 기업들은 클라우드 컴퓨팅(49%)과 사물인터넷(27%) 기술을 주로 도입하고 있었다.

다만 빅데이터 분석(14%)과 인공지능(8%)은 비용 상의 문제 등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도입이 느린 편이며, 소규모 기업일수록 이러한 추세가 강하게 나타났다.

국내 기업들의 디지털 기술 도입률은 다른 OECD 회원국에 비해 두드러지는 성과를 보였다.

사물인터넷(53%), 빅데이터 분석(40%), 인공지능 기술(28%) 도입률에서 각각 OECD 1위를 차지했다. 클라우드 컴퓨팅 도입률(70%) 역시 5위를 차지하는 등 산업 전반적으로 매우 신속하게 디지털 신기술을 적용하고 있는 국가로 평가됐다.

2011~2022년 OECD 회원국의 ICT 부문 경제는 전체 경제에 비해 2.5배 빠른 평균 5.3%의 성장률을 나타냈다.

새로운 기술의 위험성(risk)을 최소화하기 위한 관리방안도 함께 추진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와 관련 미국의 2020 AI 이니셔티브법, 유럽의 Horizon Europe(R&D 프로그램), G7의 생성형 AI에 대한 히로시마 프로세스 등이 언급됐다.

[서울=뉴스핌]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17일 오전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2024 월드IT쇼' 시상식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4.04.17 photo@newspim.com

우리나라의 ▲인공지능 지역확산 추진방향 ▲K-클라우드 프로젝트 ▲메타버스 신산업 선도전략 ▲메타버스 윤리원칙 등 디지털 신기술 분야별 주요 정책도 소개됐다.

이종호 과기부 장관은 "OECD 디지털경제전망보고서를 통해 OECD 국가들의 정책 동향을 파악하고, 우리나라 디지털 분야의 강점과 약점을 확인해 디지털 모범국가로서 국민이 체감하는 성과를 창출하는 데 활용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biggerthanseoul@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