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최근 건설사의 수주액이 10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상위 10개 건설사 중 삼성물산, 대우건설, 현대엔지니어링, GS건설 등 총 7개사가 올해 1분기 정비사업을 단 한 건도 수주하지 못했다.

15일 대한건설협회의 '국내건설경제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국내 건설 수주액은 34조221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무려 28.0% 감소했다. 특히 민간 부문 수주 감소 폭이 크다.

올해 1분기 민간 부문 수주는 22조2121억원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36.2% 줄었다. 같은 기간 공공 부문 수주는 12조147억원으로 5.9% 줄었다.

공사 종류별로 보면, 국내 건축은 20조5880억원으로 27.4% 감소했고, 토목은 13조6331억원으로 29.0% 감소했다.

건축 부문 중에서도 재개발 수주액이 37.7% 줄어들었다. 고금리가 장기화되고 공사비가 상승하면서 전국 곳곳에서 잡음이 일자 수주가 줄어든 것으로 분석된다.

올해 1분기 실적을 공개한 국내 상위 건설사 10곳의 정비사업 수주액은 총 3조9994억원이다.

상위 10개 건설사 중 삼성물산, 대우건설, 현대엔지니어링, GS건설 등 총 7개사가 올해 1분기 정비사업을 단 한 건도 수주하지 못했다.

재개발과 재건축 등 정비사업에 대한 전반적인 분위기가 변한 결과다.  

 

(사진=연합뉴스)

특히 과거에는 높은 수익성을 보장받았던 서울 강남권 재건축 사업도 예전 같지 않다. 강남구 개포동 '개포한신아파트'는 최근 시공사 선정 입찰에서 단 한 곳의 건설사도 참여하지 않았다.

규제 완화 등을 이유로 총선 결과를 지켜보자는 분위기도 있었지만, 총선 이후에도 강남과 용산 등 입지가 좋은 지역의 정비사업까지도 건설사들이 꺼려하자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알파경제에 "금리와 공사비가 안정되는 시점이 불투명해 건설사들의 선별수주 경향이 강해지고 있다"며 "수주가 계속해서 줄어들면 공급부족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