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뉴스핌] 조용성 특파원 = 미국 정부가 중국산 전기차에 대해 관세를 크게 인상할 것으로 전해지고 있는 가운데, 중국 내에서 미국이 관세인상과 함께 타국의 관세인상 동참을 압박할 것이라는 경고음이 나오고 있다.

최근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관세를 기존 25%에서 100%로 4배 상향하기로 방침을 정했다고 보도했다. 또한 바이든 행정부는 이같은 방침을 조만간 발표할 예정으로 전해졌다.

이에 대해 중국 관영 환구시보는 13일 논평을 통해 높은 경계심을 드러냈다. 매체는 "현재 중국이 미국에 수출하는 차량은 전무하다시피 하다"며 "새로운 관세안이 시행되더라도 중국 업체에 끼치는 영향은 전혀 없다"고 평가했다.

이어 환구시보는 "이 같은 극단적인 보호무역주의는 미국의 국제적 명성을 훼손할 것이며, 미국의 정책 방향이 비정상적임을 드러내게 될 것"이라며 "미국 내에서는 이같은 정책이 미국 경제를 상하게 할 것이고, 중국의 반격까지 불러올 수 있음을 우려하는 경고가 나오고 있다"고 강조했다.

매체는 미국의 고율관세 정책은 미국내 대통령 선거를 위한 정치적인 고려가 있으며, 이를 통해 타국을 압박할 의도가 있다고 분석했다. 매체는 "미국이 관세 인상 시점에 EU에 지시하고 압력을 행사하려 할 것이며, 더 나아가 브라질과 인도 등 개발도상국들에게 미국과 함께 대중국 고율 관세 부과에 동참하라고 압박할 것이라는 분석이 있다"고 적시했다. 이어 "만약 그렇다면 전 세계의 이익을 해치고, 타국의 자유무역을 침해할 뿐만 아니라 글로벌 사우스 국가들의 친환경 발전권을 박탈하는 일"이라고 비판했다.

매체는 "대중국 전기차 고율관세 부과 건은 미국이 더욱 깊은 보호무역주의의 길을 갈지, 상생협력의 길을 갈지에 대한 시금석이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중국의 한 항구에서 수출용 자동차가 자동차운반선에 선적되고 있다. [신화사=뉴스핌 특약]

ys174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