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스턴=뉴스핌] 고인원 특파원= 판매 감소와 주가 하락으로 고전하고 있는 미국 전기차 제조업체 테슬라가 중국에서 감원 규모를 확대하고 있다고 블룸버그 통신이 9일(현지시간)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익명을 요구한 복수의 소식통에 따르면 테슬라는 이번 주 초 중국에서 추가 감원에 나섰으며, 이는 전 세계 인력의 10%가량을 해고하기로 한 지난달 결정의 연장선상이다. 지난번 감원 대상이 영업 인력에 집중됐다면, 이번에는 글로벌 생산의 절반 이상을 담당하는 상하이 공장의 물류, 고객 서비스, 엔지니어, 생산라인 등 다양한 부서의 직원들이 해고 통지를 받았다.

특히 이번 해고는 테슬라가 자율주행 시스템의 현지 출시를 위해 중국 당국의 승인을 받음으로써 판매량 증대가 예상되는 상황에서 이뤄진 것이어서 더욱 눈길을 끈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 [사진=로이터 뉴스핌]

통신은 정확한 추가 감원 규모나 이에 따라 테슬라 중국 공장 운영에 미칠 여파 등에 대해서는 아직 확실히 알기 어렵다고 전했다. 테슬라 측도 이 같은 보도 내용과 관련한 코멘트 요청에 응답하지 않았다.

전 세계적인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둔화)' 여파로 테슬라는 실적 악화와 비용 절감 압박에 시달리고 있다. 이에 지난달 일론 머스크 CEO는 직원들에게 보내는 이메일에서 "전 세계적으로 10% 이상 인력을 감축하는 어려운 결정을 내렸다"고 밝혔다. 약 1만4000명 규모다. 

특히 중국 시장에서는 비야디(BYD) 등 현지 브랜드들과의 치열한 경쟁과 중국 소비자들 사이 불어닥친 '애국 소비' 열풍에 고전을 면치 못하는 상황이다.

그 결과 지난 4월 중국 전체 신에너지 자동차 시장 규모가 전년 대비 33% 성장했음에도 불구하고 테슬라의 중국 출하량은 18% 감소했다. 반면 리오토와 BYD 등은 현지브랜드의 4월 출하량이 전년 동기보다 최대 50% 가까이 늘어난 것과는 대조적이다.

블룸버그의 자체 조사에 따르면 올해 1분기 테슬라의 중국 시장 점유율은 7.5%로 지난해 1분기의 10.5%에서 3%포인트나 줄었다. 

통신은 테슬라가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중국 현지의 인력 감축을 진행하는 한편, 중국 시장 진출의 주역이었던 톰 주(Tom Zhu) 수석 부사장을 다시 중국으로 불러들일 계획이라고 전했다. 톰 주 부사장은 지난 2018년 테슬라의 중국 공장인 기가 상하이 건설 현장 감독을 맡았는데, 당시 9개월 만에 초고속으로 공장을 완공했고 그 공을 인정받아 2019년 테슬라 중국법인 대표로 발탁되는 등 승진 가도를 달렸다.

지난 2023년 4월에는 자동차 부문 부사장으로 승진해 테슬라 오스틴 본사에서 글로벌 생산, 판매, 배송, 서비스 및 공장을 총괄해 왔다. 그가 복귀하며 부진한 중국 시장에서 테슬라가 실적 개선을 이룰 수 있을지 주목된다.

koinwo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