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에너빌리티, 수익 중심 사업으로 실적 안정...대형 원전 매출 본격화
[서울=뉴스핌] 조수빈 기자 = 두산에너빌리티가 올해부터 대형 원전을 중심으로 본격 수주를 진행할
예정이다. 체코 원전을 포함해 원자력 부문 수주는 올해부터 연 4조원 이상 달성하겠다는 목표다.
 |
박정원 두산그룹 회장이 체코 플젠 시에 위치한 두산스코다파워를 방문해
원전 핵심 주기기인 증기터빈 생산현장을 살펴보고 있다. [사진=두산] |
◆올해 수주 계획 10.7조…두산스코다파워 상장 시너지도 기대
18일 업계에 따르면 두산에너빌리티는 실적 발표를 통해 지난해 수주 실적은 가스터빈 기자재 공급 및 관련 서비스,
시공 등을 포함해 7조1314억원을 기록하며 당초 수주 목표 대비 초과 달성했다고 밝혔다. 올해 수주 계획은
10조7000억원으로 체코 원전 및 가스 수소 분야 수주를 적극 확대하겠다는 방침이다.
두산에너빌리티 부문 영업이익 역시 지난해 실적인 2436억원에서 53% 늘어난 3732억원으로 높여 잡았다. 매출은
수주 시차를 고려해 지난해 7조4000억에서 올해 6조5000억원으로 가이던스를 조정했다.
2022년 채권단 관리체제 종료 이후 2023년부터 수익성 중심의 사업 구조조정을 지속해 온 결과가 실적에 반영되고
있는 모습이다. 두산에너빌리티는 기존 석탄 중심의 포트폴리오를 원자력·가스 등 기자재 사업으로 전환하면서 2023년부터
본격적인 실적 개선 흐름에 올라탔다.
두산에너빌리티 관계자는 "원전 등 고수익 기자재 중심의 수주는 지난해 일부 실적에 반영되기 시작했으며, 이에 따라
영업이익이 높은 가이던스를 보이게 됐다"고 설명했다.
두산에너빌리티는 원자력 부문에서 올해 체코 원전 수주를 시작으로 매년 해외 원전 2기씩 추가 확보하고,
소형모듈원전(SMR) 공급 물량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체코 현지에 상장된 두산스코다파워와의 시너지도 기대된다.
150년 이상의 업력을 보유한 두산스코다파워는 이미 체코, 슬로바키아, 핀란드 등 3개국에 원전용 증기 터빈
26기를 공급한 바 있으며, 현재까지 전 세계 발전 시장에 540기 이상의 증기 터빈을 납품했다. 이번 상장으로 인해
현지 시장에서의 브랜드 입지가 더욱 강화될 전망이다. 유럽 원전 시장 진출의 교두보 역할을 하는 두산스코다파워의 중요성도
올해부터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
 |
박정원 두산그룹 회장이 체코 플젠 시에 위치한 두산스코다파워를 방문해
원전 핵심 주기기인 증기터빈 생산현장을 살펴보고 있다. [사진=두산] |
◆SMR·정비 시장도 시장 진입…투자 계획도 예정대로
두산에너빌리티는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원자력 에너지 용량이 2023년 대비 2050년까지 2.5배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SMR 시장도 이에 따라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두산에너빌리티는 향후 5년간 60기 이상 수주를 목표로 하고
있다.
신규 대형 원전뿐만 아니라 중장기적으로 원전 기자재 및 유지보수 사업도 안정적인 수익원으로 자리 잡을
전망이다.
이를 위해 두산에너빌리티는 한미 간 원전 분야 협력을 강화하고 해외 원전 정비 사업 수주에 적극 나설 계획이다.
두산에너빌리티는 "한미 원자력 협력의 일환으로 웨스팅하우스-한국수력원자력-한국전력 간 합의를 통해 글로벌 원전 시장에서
상호 협력 관계를 더욱 강화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또한 지난해 수주한 루마니아 체르나보다 원전 설비 개선사업, 캐나다 피커링 원전 설비 개선사업 등 정비 사업의
참여를 확대하면서 관련 수주 경쟁력을 확보하겠다는 방침이다.
원자력 수익 확보를 위한 투자 계획도 정비했다. 비핵심자산을 매각하고 두산스코다파워 체코 상장을 통해 추가 투자
자금을 확보한 두산에너빌리티는 당초 계획대로 1조원 이상의 투자금을 확보할 수 있게 됐다.
두산에너빌리티는 지난해 두산밥캣을 포함한 지배구조 개편 추진이 무산되면서 투자 자금 확보에 어려움을 겪었지만,
두산스코다파워 상장을 통해 약 1000억원의 자금을 확보했고, 이를 통해 올해 총 1조3000억원의 투자 재원을 마련할
수 있었다.
두산에너빌리티 관계자는 "원자력, 가스터빈 중심 사업 확대로 향후 5년간 수주는 연평균 6% 성장이 예상된다"며
"전기화 및 인공지능(AI) 데이터 센터, 무탄소 에너지 사업 확대 트렌드에 맞춰 사업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두산에너빌리티의 연결기준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7.7% 하락한 16조2331억원,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30.7% 줄어든 1조176억원을 기록했다. 두산밥캣 등 외부 불확실성과 수요 둔화, 생산량 조정에 따른
자회사 실적이 영향을 미쳤다는 설명이다.
beans@newspim.com
두산에너빌리티 (KOSPI:034020)
과거 데이터 주식 차트
부터 1월(1) 2025 으로 2월(2) 2025
두산에너빌리티 (KOSPI:034020)
과거 데이터 주식 차트
부터 2월(2) 2024 으로 2월(2) 2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