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현대자동차 노동조합이 올해 임금 및 단체협상 주요 요구안을 확정하고, 사측과 논의에 들어갈 예정이다.


무엇보다 강성 노조로 분류되는 현대차 집행부가 정년 연장 카드를 꺼내 들면서 올해 임단협이 가시밭길을 걷게 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19일 재계에 따르면 금속노조 현대차 노조는 최근 임시 대의원대회를 열고 국민연금 수급과 연계한 정년 연장을 요구안으로 확정했다.

현재 국민연금 수령 나이는 63세인데, 2033년부터 65세로 연장된다.

이에 현대차 노조는 현재 만 60세인 정년을 최대 만 64세까지 연장하자고 요구하는 것이다. 기아 노조 역시 사측에 현대차와 같은 요구를 할 전망이다.

HD현대그룹 계열사인 HD현대중공업·HD현대삼호·HD현대미포 노조는 현재 만 60세인 정년을 만 65세로 연장하는 임단협 공동요구안을 지난 17일 사측에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노총 또한 공적 국민연금 수급 연령과 맞춰 65세 정년 연장을 주장하며 정치권과의 연대도 검토하고 있다.

현대차는 지난 5년 연속 무분규를 이어가고 있다. 하지만, 올해는 상황이 전혀 다르다.

역대 최대 수출 성적 등으로 조합원들의 기대치가 높아진 상황에서 강성으로 분류되는 문용문 노조위원장이 선출됐기 때문이다.  

 

(사진=연합뉴스)

벌써부터 올해 교섭이 쉽지 않을 것이란 관측이 지배적이다.

문용문 위원장은 지난 선거 당시 ▲상여금 900% 쟁취 ▲주 4일 근무제 도입 ▲정년 연장 등을 공약으로 내걸은 바 있다.

때문에 올해 현대차 임단협 요구안에도 이 같은 내용이 모두 포함됐을 것이란 관측이다.

현대차 노조도 올해 교섭에 대한 파업 지지가 절대적이다.

최근 설문조사에서 파업 투쟁을 해서라도 노조 요구안을 반드시 쟁취해야 한다는 의견이 65%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파업에 긍정적 의견이 전체의 86%에 달한다.

문용문 현대차 노조위원장은 소식지를 통해 “대의원과 조합원들의 힘과 지혜를 한곳으로 모아 2024년 투쟁을 반드시 승리하자”고 목소리를 높였다.